1. 코뿔소 밀렵의 현실
아프리카 코뿔소는 오랫동안 밀렵꾼들의 주요 표적이었습니다. 코뿔소 뿔은 장식품이나 전통 약재로 사용되며, 잘못된 믿음과 고급 소비재로의 수요로 인해 높은 가격에 거래됩니다.
1977년 CITES에 의해 국제 거래가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코뿔소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특히 북부 흰코뿔소는 단 두 마리만 남았고, 남부 흰코뿔소 역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2008년 이후 남아프리카에서는 밀렵이 급격히 증가했으나, 최근 통계에서는 다소 감소세를 보입니다. 그러나 베트남 등 일부 국가에서 여전히 수요가 존재하며, 밀렵단의 수법은 점점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2. 기존 보호 방법의 한계
그동안 코뿔소 보호를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뿔에 염료를 주입하거나 독성 물질을 첨가해 시장에서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밀렵꾼들이 이를 회피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을 찾아내면서 장기적인 효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또한 독성 물질 사용은 코뿔소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어 논란이 있었습니다.
3. Rhisotope 프로젝트의 등장
Rhisotope 프로젝트는 기존 방식과 전혀 다른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해 코뿔소 뿔을 추적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전 세계 공항과 항구에는 이미 약 1만1천 개의 방사선 감지 포털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어, 동위원소로 처리된 뿔은 밀수 과정에서 쉽게 탐지됩니다. 이를 통해 밀렵과 불법 거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4. 안전성과 테스트 결과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는 두 마리의 흰코뿔소 뿔에 안정 동위원소를 처리하는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혈액과 배설물 검사에서 동위원소가 신체 내부로 이동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2단계 테스트에서는 감지 장치에서 정상 범위의 수치가 확인되었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20마리의 코뿔소를 대상으로 6개월간 모니터링한 결과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프로젝트의 미래와 확장 계획
2025년 8월 기준 Rhisotope 프로젝트는 공식 운영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와 보존 전문가들의 협력 아래 남부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도 확장될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법 집행 기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코뿔소 밀렵 근절과 멸종 위기 종 보존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마와 바벨 물고기의 특별한 스파 같은 공생 관계 (3) | 2025.08.16 |
---|---|
방울뱀의 크기와 종류, 그리고 기록상 가장 큰 방울뱀 (3) | 2025.08.15 |
피지 술록이구아나의 서식지와 짝짓기 의식 완전 정리 (3) | 2025.08.10 |
바다 속 살아있는 덫, 보빗 웜의 충격적인 사냥 방식과 생태 (3) | 2025.08.09 |
은빛 풍뎅이 Chrysina limbata, 자연이 만든 보석 같은 곤충 (3) | 2025.08.06 |